본문 바로가기
예술

거문고의 역사 및 특징 연주방법

by 김유파 2023. 5. 11.
반응형

거문고는 한국 전통 악기 중 하나로, 나무와 통박으로 만들어진 타악기입니다. 역사적으로는 백제 시대부터 사용되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 당시의 거문고와는 형태와 기능이 다르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거문고는 조선 시대에 등장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1. 거문고의 역사

거문고는 백제 시대에는 유리와 도자기, 나무 등으로 만들어져 약조(樂調)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거문고는 조선 시대에 등장하여 거문(鼓面)과 고(鼓)로 붙여져 거문고라는 이름이 생겨났습니다. 이후에는 궁중에서 주로 사용되다가 조선 후기에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2. 거문고의 특징

거문고는 기본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지며, 고리형태의 거문과 이를 연결하는 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거문은 주로 대나무, 참나무, 느티나무 등으로 만들어지며, 각각의 나무에 따라 소리의 특성이 달라집니다. 고리는 통박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거문과 끈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한, 거문고는 일반적으로 무늬가 그려져 있으며, 이는 조선시대의 도자기나 단칸도와 비슷한 무늬를 가지고 있습니다.

3. 거문고의 음색

거문고는 기본적으로 타악기이지만, 거문과 고리의 크기와 두께, 그리고 거문의 소재에 따라 다양한 음색을 만들어냅니다. 거문의 크기가 작으면 고음, 크면 저음이 나며, 거문의 두께가 얇으면 밝은 소리, 두껍면 둔한 소리가 나옵니다. 또한, 각각의 거문고마다 특별한 효과음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4. 거문고의 분류

거문고는 크게 대조류와 소조류로 분류됩니다. 대조류는 거문의 크기와 소리가 크며, 주로 국악 연주에서 사용됩니다. 대표적으로는 장구, 북, 각, 태 포, 철회 등이 있습니다. 소조류는 거문의 크기와 소리가 작으며, 주로 앙상블이나 연주회에서 사용됩니다. 대표적으로는 꽹과리, 타악계의 기법인 판소리에서 사용되는 패륜, 그리고 민요나 가곡 연주에서 사용되는 대금, 하금 등이 있습니다.

5. 거문고의 연주 방법

거문고는 손바닥이나 손가락을 사용하여 연주합니다. 주로 거문을 왼손으로 잡고 오른손으로 치며, 각각의 손가락으로 다양한 소리와 연주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또한, 연주하는 과정에서는 흔들기, 스쳐치기, 단일 침, 연속 침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다채로운 음악을 연주합니다.

6. 거문고의 현재

현재 거문고는 전통음악뿐만 아니라, 현대음악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전통적인 거문고의 연주 방법과 기법을 유지하면서도, 피아노, 기타 등과 함께 연주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거문고를 이용한 창작작품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거문고는 한국의 전통악기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도 중요하며,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각각의 거문고마다 특징과 음색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거문고를 연주하는 것은 매우 다채롭고 재미있는 경험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